<경제뉴스>
1. LNG 액화 천연가스 가격 급등 (백만 BTU 당 21.5달러 기록, 지난해 4월 1.7달러)
- 동북아시아의 기록적 한파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.
- 탈석탄 트렌드에 의한 천연가스 수요 증가.
- 단기적 공급계약을 맺은 에너지회사들의 수입 증가. (토탈 등)
- LNG 운송 선박의 이용료 증가.
- 도시가스 요금은 LNG 수입단가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 존재.
- 70%는 장기계약을 통한 수급, 30%는 단기적 현물 수급 (30%는 수입 가격 상승)
2. 저축은행의 예금 금액 증가
1) 파킹통장 (하루만 맡겨도 연 1.5% ~ 2%대 수익을 제공하는 수시 입출금 통장)
- 20 ~ 30대의 주식투자 자금을 위한 단기적 보관 목적.
3. 20년 로또복권 판매량 최대치 기록 (연간 4조 7천억 원 판매)
- 경기가 안좋아질수록 판매량 증가
<친절한 경제 : 코스피 지수 3천의 의미>
1. 1980년 1월 4일 - 우리나라 상장주식의 시가총액 합산을 100으로 가정하여, 지금 주식시장에 있는 주식의 가치를 합한 값
2. 미국의 다우 지수
- 미국을 대표하는 30개 기업의 주가를 평균 낸 값.
- 1896년 - 40, 2021년 현재 - 3만
<이슈 토론 : 최근 주식 시상 하락 이유, 미국의 금리 상승 기조>
1. 금리 상승 이유
1) 민주당의 정책기조
- 상원, 하원, 대통령 (블루웨이브)로 인한 미국의 경기 부양책 확대 전망
- 정부의 부양책 확대를 위한 국채 발행 확대 -> 국채 가격 하락 (금리 상승)
- 1/15일 바이든의 1조 9천억 달러 부양책 발표로 인한 금리 상승 요인
2) 미국 연준
- 테이퍼링 (회사채권 매입 감소) 발언
3) 금리 상승으로 인한 주식시장 전망
- 단기적 : 경제활성화로 인한 금리 상승을 의미하므로 긍정적 요인
- 장기적 : 자금에 대한 비용 상승 (대출 금리 등)으로 인한 악재.
'제테크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자발적 실업자 역대 최대치 기록, 코스피 2% 급락 이유 - 1/18(월)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(0) | 2021.01.18 |
---|---|
중국의 ‘힐링소비’ 트렌드 - 1/16(토)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(0) | 2021.01.18 |
"주택연금이란?", "CJ CGV 임대료 미납 이슈" - 1/14 (목)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(0) | 2021.01.14 |
1/13 (수)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- "이익 공유제란", "배당금 지급시기", "연료비 연동제" (0) | 2021.01.13 |
1/12 -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"전기차 보조급 차등지급", "개인들의 빚투과열", "우선주를 발행하는 이유" (0) | 2021.01.13 |